Xcaliber
BRIDGE is a retina multi-purpose WordPress theme built on very powerful and flexible framework by QODE.
agency, ajax, background video, blog, business, clean, creative, fullscreen, mega menu, modern, multi-purpose, parallax, portfolio, responsive, retina
16864
page-template-default,page,page-id-16864,bridge-core-3.0.1,qode-page-transition-enabled,ajax_fade,page_not_loaded,,qode-title-hidden,qode-theme-ver-28.7,qode-theme-bridge,qode_header_in_grid,wpb-js-composer js-comp-ver-6.13.0,vc_responsive

Xcaliber Program | 엑스칼리버 프로그램


엑스칼리버 프로그램은 아이들의 개별적 수행능력에 기반하여 맞춤형 프로젝트와 다양한 개별평가를 포함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입니다. 엑스칼리버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루트파이가 자체 개발한 XQ Test (수행능력평가지수)를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정보처리과정과 실제구현능력의 지표가 분석된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XQ ( Execution Quotient ) Test


(1) 실제 수행을 통해 다양한 역량을 진단합니다. 

 

대부분의 검사는 질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행능력은 단지 할 수 있다는 믿음만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능력입니다. 직접 스스로 해 낼 수 있는지 프로젝트를 통해 확인하지 않으면 정확하게 역량을 진단할 수 없습니다. XQ Test는 다양한 수행을 기반으로 진단합니다. 

 

(2) 고유값이 아닌 현재의 상태값을 진단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검사하는 IQ Test는 아이들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그 값이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반면 XQ는 현재의 수행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경험과 지식이 쌓이면 충분히 상향시킬 수 있는 지표입니다. 즉, 아이들의 고유값이 아닌 현재의 수행능력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수행능력을 알고, 높여 나갈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Xcaliber Program Process : 엑스칼리버 교육과정


XQ Test 및 진단

XQ 테스트를 통해 문제해결력을 측정

정보의 처리과정과 실제 구현능력을 XQ Test로 진단

진단결과의 컨설팅

프로젝트 추천 및 그룹설정

진단결과에 따라 그룹을 정하고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설계

프로젝트 진행

프로젝트의 진행 및 피드백

개별 추천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과정과 결과에 대해 피드백

중간점검 및 확인

개별 인터뷰 및 프로젝트 결과분석

개별적 인터뷰와 프로젝트분석을 통해 중간 컨설팅

프로젝트 튜닝

개별적으로 그룹조정과 프로젝트 최적화

분석결과를 통해 그룹변경이나 프로젝트의 내용과 수준을 조정

XQ Test 구조


XQ Test는 실제 수행가능한 문제해결역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크게 1) 정보처리능력과 2) 실제구현능력을 측정합니다. 문제해결과정은 문제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생각해는 과정과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내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XQ에서는 이 2개의 과정을 진단과정에서 검사자가 직접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XQ를 측정합니다. 

[1] Information Processing : 정보처리능력


정보처리능력의 측정과정은 4가지 형태로 정보를 제시합니다.

  • 텍스트
  • 이미지
  • 오디오
  • 비디오

4가지 형태로 제시된 정보는 다음의 각 3종류의 내용을 통해 측정합니다. 

  • 무엇인가를 설명하는 것
  • 대화와 같이 상황을 제시하는 것
  • 추상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

개념 파악

주어진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가, 핵심개념을 잘 파악하는가, 내용을 오해없이 정확하게 이해하는가, 정보의 숨겨진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Recognition
  • Conceptualization
  • Understanding
  • Interpretation

체계화

정보를 정리할 수 있는가, 정보를 체계화할 수 있는가, 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가, 정보를 범주화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Construction
  • Systematization
  • Classification
  • Categorization

분류 판단

 정보를 비교할 수 있는가, 정보를 나름대로의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 정보를 다른 정보로 대체할 수 있는가, 정보를 발전시킬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Comparison
  • Evaluation
  • Substitution
  • Development

예측 추론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가, 정보를 변형할 수 있는가, 정보로부터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가, 정보로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Visualization
  • Transformation
  • Inference
  • Projection

[2] Concrete Realization : 구체적 실현능력


구체적 실현능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8가지 역량을 값을 도출합니다.

  • 아이디어 도출
  • 체계적 분석
  • 구체적 실행
  • 과정의 통제
  • 논리적 사고
  • 자기 신뢰도
  • 상황 적응력
  • 메타인지

기획

추상적 개념을 스스로 정할 수 있는가, 구체적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가, 개념과 기능을 연결할 수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추상적 개념정의
  • 구체적 기능정의
  • 개념과 기능의 연결

디자인

스스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가시화할 수 있는가, 자신의 디자인을 구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전략이 있는가, 기획단계의 아이디어가 어느 정도 디자인에 반영되어 있는가를 측정합니다. 

  • 표현과 설계
  • 재료와 도구 선택
  • 디자인 일치도

구현

디자인한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구현하는가, 얼마나 자신이 스스로 해내는가, 구현과정에서 표현의 합리성과 인간중심의 사고를 하는가를 측정합니다. 

  • 제작 정확도
  • 자기 수행정도
  • 미적 표현력

관리

과정을 균형있게 관리하는가, 핵심을 놓치지 않고 유지하는가, 최종 결과물의 완성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측정합니다. 

  • 과정의 관리
  • 주제의 일관성
  • 결과의 완성도

XQ와 IQ간의 비교


K-WISC와 같은 IQ검사는 아이들의 고유한 인지능력을 진단합니다. IQ지수는 학습을 통해 변할 수 있지만 그 결과는 매우 미미하다고 합니다. 반면 XQ는 문제해결능력을 수행을 통해 진단하고 지수는 경험의 확장이나 축적을 통해 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그래프는 IQ와 XQ 지수간의 관계를 표시한 것입니다. K-WISC는 160점을 만점으로 하고 있고 XQ는 240점을 만점으로 하고 있습니다. 

IQ점수와 XQ점수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습니다. IQ지수가 높다고 하여 반드시 수행능력이 높은 것이 아니며, IQ지수가 낮아도 수행능력이 높은 아이들이 있습니다. 특히 XQ지수는 고유값이 아니라 경험의 확장으로 충분히 상향조정될 수 있는 기준점으로서의 역할만을 합니다 .

XQ의 구체적인 분석 예


XQ지수는 다양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으며, 정보의 종류, 정보의 상황, 실현 각 단계별 역량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IQ점수와 XQ점수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습니다. IQ지수가 높다고 하여 반드시 수행능력이 높은 것이 아니며, IQ지수가 낮아도 수행능력이 높은 아이들이 있습니다. 특히 XQ지수는 고유값이 아니라 경험의 확장으로 충분히 상향조정될 수 있는 기준점으로서의 역할만을 합니다 .